본문 바로가기

매일의 생각

제곱미터(㎡)와 평 쉽게 변환하는 방법 부동산 관련하여 자료를 볼 때 항상 버벅거리는 부분이 면적 단위인 제곱미터와 평을 변환하는 순간입니다. 자료를 보다가 항상 생각을 멈추게 합니다.. ㅠ 이럴 때는 머릿속에 빠른 시스템을 구축해서 바로 변환하도록 만들어야 합니다. 본론으로 들어 가지 전에 제 친구 이야기를 하나 들려드릴게요 "영삼이는 평화시장에서 삼삼한 미제 줄자를 팔고 있어요. 줄자의 길이는 영삼이 키와 같은 181.8cm이다." 친구에 대해 질문 드려 보겠습니다. Q1. 제 친구의 이름은? Q2. 제 친구는 어디에서 일을 하나요? Q3. 친구가 파는 줄자는 어떤 줄자인가요? Q4. 줄자의 길이는? 이 질문을 왜 드렸는지 마지막에 알려드릴게요 ^^ 제곱미터(㎡)를 평으로 변환하는 방법입니다. 1㎡ = 0.3025평 입니다. 예를 들어 1.. 더보기
읍니다 우리 아버지 세대에서 배운 문법 ‘읍니다’ ‘습니다’ 세대들은 아재라고 놀리며 일부러 ‘읍니다’ 를 쓰며 조롱 아닌 조롱을 한다. 귀엽게 놀리는 것 같아도 어찌보면 비웃음이 뒤섞인 듯 하다 아버지 세대에서는 그렇게 교육을 받으신 것이고 그게 맞다고 생각하신다. 쉽게 고쳐지지 않는 습관이다. 갑자기 ‘읍’이 ‘습’으로 바뀔거라고 상상이나 할 수 있었을까? 모두 나이를 먹어간다 나에게 있어 또 다른 ‘읍니다’가 필연으로 다가 올 것이다. 반갑게 맞이할 준비를 해놔야겠다 그때가 되면 어떤 어린 친구가 나를 놀리며 잘 알려주기를 바래본다. 그리고 내가 그 친구의 가르침을 웃으며 잘 받아들이기를..! 더보기
살아남는 게 강자 ​ 스밀로돈(검치호랑이) 보기만 해도 강력함이 느껴진다 매머드나 대형 초식동물에게도 무서운 존재였다 1만년 전 까지도 미주대륙의 최상의 포식자였다고 한다 지금은 볼 수 없다 이 당시에도 볼품없던 코요테나 회색늑대는 지금까지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인간도 항상 강한 문명과 문화 속에 존재해 있었지만 다른 별 볼 일 없다고 생각한 세력이나 문화에 시대를 넘겨 준 사례는 많다 우리 나라가 조선 500년 간 부흥도 했지만 유교문화와 폐쇄정책에 기인하여 시대의 변화를 따르지 못하고 진심 답답한 정책으로 백성들 밥그릇도 못챙겨 주고 왜놈들에게 귀와 눈 베이는 굴욕들을 당하면서도 지금까지도 역사는 반복되고 있다 개인도 마찬가지이다 자본주의 자유시장 체제에서 돈에 대해서 욕심을 버리라 하고 황금보기를 돌같이 하라고 하고.. 더보기
진짜 아는 것 진짜 아는 것은 남에게 설명할 수 있는 단계까지 아는 것이다 실질적 문맹이 많다고 한다 무심코 쓰는 말도 의미를 곱씹어보면 모르거나 헷갈리는 경우가 많다 놓치기 쉬운 모르는 점에 대해서 잘 생각하자 평소에 내가 아는 것이 진짜 내가 아는 것인지 하나하나 따져봐야겠다 더보기
좋은 책 고르는 방법 나는 책을 좋아한다. (예전엔 단순히 책을 수집하면 뿌듯했다) 나는 독서를 좋아한다. (사실 독서를 좋아하게 된 건 몇개월 안됐다) 나는 도서관을 좋아한다. (요즘엔 자주간다 일주일에 두권 정도 읽고 있다) 좋은 책을 고르는 방법을 알고있다. 내 수준에 적합해야 하고, 내가 배울 수 있는 것이 많은 책이 좋은 책이다. 베스트셀러라서, 유명인이 추천해 주어서 좋은 책은 당연히 좋은 책이겠지만 내가 그 책에 흥미가 없고 전혀 이해할 수 없다면 나에게 좋은 책이 아니다. 도서관 또는 서점에서 '나에게 좋은 책' 고르는 방법 1. 관심있는 분야로 간다. 2. 관심 분야에서도 소주제를 선정한다. 3. 책의 표지에서 책의 컨셉을 확인한다. 4. 차례를 확인한다. 내가 원하는 정보가 수록됐는지? 주제에 대한 큰 흐름.. 더보기
동기부여의 비밀 : 내재적 동기(심리적 만족감) NGNS (Never give up Never stop) 요즘 즐겨보는 유튜브 채널이다. 동기부여의 비밀이라는 주제의 영상을 봤다. 뇌의 보상체계 실험 미즈노 케이 교수가 성취 동기에 대한 실험을 했다. 뇌의 활동을 MRI로 측정함 외적동기(물질적 보상) vs 내적동기(심리적 보상) A그룹은 어려운 문제를 푸는 것에 대해 수준에 따른 차등적 물질 보상 B그룹은 어려운 문제를 푸는 것에 대해 수준에 따른 IQ가 높다는 심리적 보상 뇌의 일부 난각막은 보상체계를 유발하는 부분인데 실험을 통해 심리적 만족감을 느낄 때 이 부분이 활성화됨을 확인했다고 한다. 내재적 동기(심리적 만족감)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원동력이자 꾸준함의 비밀이다. 성취 동기를 스스로 부여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포기를 하는 이유가 어려워.. 더보기
메타인지에 대해서 최근 유튜브를 통해 여러가지 배움을 얻고 있다. 박세니 마인드 코칭 채널에서 메타인지에 관련하여 영상을 시청했다. 나는 박세니 선생님의 양질의 컨텐츠를 통해 심리학, 교육학에 대한 지식을 얻고 있다. 감사합니다. 메타인지는 내가 아는 것과 모르는 것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는 것이라고 한다. 그 예를 들어, 선생님은 다음과 같은 유사한 질문을 하셨다. "대한민국의 수도는 어디일까요?" 바로 "서울!" 이라고 대답할 수 있다. 그럼 다음 질문.. "과테말라의 세번째 수도는 어디일까요?" 전혀 대답할 수가 없다. 이것은 분명히 내가 모르는 것이다. 내가 아는 것은 대한민국의 수도가 서울이라는 것이고 모르는 것은 과테말라의 세번째 수도이다. 인간만이 유일하게 메타인지를 할 수 있다고 한다. 성적이 높은 학생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