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평

[서평] 어떻게 읽을 것인가 by 고영성

728x90

◇ 한 줄 평

 독서에 대한 관점을 뒤집어 놓은 독서

◇ 의식의 흐름대로 서평

 나의 스승님 고영성 작가님! 나는 매일 고 작가님과 신 박사님의 서적과 SNS 등의 채널을 통해 "인생 공부"를 찐하게 배우는 중이다. 

어릴 때부터 가장 많이 듣는 잔소리 중 하나가 생각난다.

"책을 많이 읽어야 한다.", "독서는 좋은 것이다."

그런데 정작 책을 어떻게 읽으라고 가르쳐 준 사람은 없었다.  나 또한 무지하여 '어떻게 읽을 것인가?'를 생각해 본 적이 없다. 

책의 첫 파트가 정말 기가 막히다.. 독아(讀我) - 나를 읽다. 글을 쓰는 와중에 방금 소름이 돋았다.

책을 어떻게 읽으라고 가르쳐 준다는 책이 아닌가? 그런데 책 이야기는 둘째 치고 가장 먼저 독자 스스로에 대해서 먼저 읽어야 한다는 생각이 놀라웠다.

프로 독서가인 저자는 독자 사고방식의 한계를 우선 깨부수어 준다. 본인도 모르게 닫혀 있는 마인드를 우선 부드럽게 어루만저 주는 세심함이 느껴진다. 작가 스스로가 본질에 대해 얼마나 심도있게 고민했는지를 느낄 수 있었다.

나를 먼저 파악하고 독서에 대해 접근을 해보아라! 인간에게 보편적인 독서법을 제시한다.

글이 재밌다. 내가 좋아하는 다양한 사회과학 사례를 들어준다. 작가의 통찰력을 통해 사례들 속에서 독서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준다. 이런 글 쓰기 방식이 참 재밌고 스마트해 보인다. 나도 이런 글을 쓰고 싶다는 욕구를 불러 일으킨다.

①다독(多讀): 많이 읽다

 - 프로 독서가가 되려면 우선 많이 접해야 한다. 쉬운 책 부터 시작하자! 계독(한 분야의 계보에 따른 책)을 추천하고 있다. 내 전공분야인 통계, 신뢰성 분야 또는 관심분야인 부동산/경제 분야 계독을 해야겠다.

②남독(濫讀): 다양하게 읽다

 - 서울대에서 A+를 받는 대부분의 학생들은 수용적 사고를 지녔다고 한다. 교수님의 말씀을 그래도 필기하고 외워서 시험을 본다고 한다. 본인의 생각이 더 옳다고 생각하더라도 교수의 의견을 따르는 것이다. 비판적인 사고를 가지기 어려운 구조같다. 안타까웠다. 이런 학생들이 미래의 대한민국 리더가 된다. 그래서 내가 더 공부해야겠다. 다양하게 읽어야 비판적 시각을 키울 수 있다.

재밌었던 부분이 유명 작가들이 연 이어 비판을 당하는 부분이었다.

말콤 글래드웰 > 스티븐 레빗 > 스티븐 핑커 > 나심 탈레브

유명하고 권위있는 사람들도 오류를 범할 수 있고 모든 것은 변하기 때문에 비판적 시각으로 합리적 의심을 던져야 한다.

③만독(慢讀): 느리게 읽다

- 우리 아기와 꼭 함께 하고 싶은 읽기 방법이다. 정말 좋은 책을 골라서 6개월~1년을 함께 한 줄 한 줄, 한 단어 한 단어 곱씹으면서 읽고 싶다. 읽는다는 표현이 사실 모자르다. 만독은 책을 통해 세상을 느끼는 것이다.

세상은 느끼는 자의 것이라고 했다. 만독은 세상을 느끼기에 가장 좋은 방법이 아닐까? 책 속에서 어떤 장소가 나오면 직접 가보고, 음식이 나오면 먹어보고, 그림이 나오면 그려보고, 음악이 나오면 들어본다. 이런 느린 읽기를 통해 준이와 나는 정말 소중한 즐거움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④관독(觀讀): 관점을 갖고 읽다

- 어떻게 읽을 것인가를 통해 색다른 관점을 갖게 되었다. 나도 관독으로 책을 쓸 수 있을 것 같다. 도전하고 싶다.

⑤재독(再讀): 다시 읽다

- 재독은 과거의 나와의 만남이다. 과거의 나와의 만남은 설렌다. 성장한 내가 과거의 나에게 미소를 지어 줄 것이다.

⑥필독(筆讀): 쓰면서 읽다

- 내가 조금이라도 더 기억하기 위해 쓰는 방법!

⑦낭독(朗讀): 소리 내어 읽다

- 묵독보다 낭독이 좋다는 것을 깨달았다.

⑧난독(難讀): 어렵게 읽다

- 근육을 키우려면 극한에서 힘을 쥐어 짜내야 하듯이, 어렵게 읽고 기억해 내려고 해야만 머리에 남는다.

⑨엄독(奄讀): 책을 덮으며 읽다

- 책을 덮고 책을 느껴라! 진짜 내 것으로 만드는 시간이다.

 

매일하는 독서를 더욱 풍요롭게 해줄 독서법 정말 감사하다. 내 인생에서 정말 가치있는 경험이었다.

 

◇ 밑줄을 긋고 필사하라. (필사한 부분에 의견을 덧붙여라.)

◇ 챕터 별로 요약하라.

◇ 요약에 대한 의견을 써라.

◇ 완성된 글을 써라.

  ◆ 도입부에 이 책을 읽게 된 계기

  ◆ 프로필과 서문을 읽고 책 소개

  ◆ 임팩트 있는 부분 1~3개 써라.